프로젝트 설정창은 왼쪽 프로젝트 내비게이터에서 프로젝트 명을 클릭하면 나온다.
설정 창은 몇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 중 특히 중요한 영역을 차례대로 알아보자
프로젝트 설정 정보 중 Identity 영역 두번째에 표시된 [Display Name] 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앱 이름을 정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젝트 명과 상관없이 원하는 앱 이름을 입력해 주면 된다.
대부분 영어로 설정하지만 앱의 이름은 한글로 표시해야될 경우가 많다. 이때 이 항목을 이용하여 이름을 설정해 주면 된다.
Xcode 8.0 이전에는 info에 속해 있는 [Bundle Name] 이라는 항목이 이 역할을 대신했다.
아직도 이 항목의 값을 편집하면 앱 이름을 바꿀 수 있다. 다만 [Bundle Name]과 [Display Name] 항목의 값이 동시에 설정될 경우 Xcode는 [Display Name]을 우선 적용한다.
그 아래 [Bundle Identifier]는 앱 스토어가 앱을 식별하는 고유 코드이다.
프로젝트 이름과 조직명이 합해져 만들어 내는 값으로 프로젝트가 생성되고 나면 수정할 수 없다.
이 영역은 앱이 배포될 때 필요한 항목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iPhone, iPad의 모바일 기기 가로, 세로에 회전 여부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항목명 | 의미 |
Portrait | 디바이스의 기본 방향 ( 아이폰에서는 세로 모드 ) |
Upside Down | 디바이스의 위아래를 180도 회전한 상태 |
Landscape Left | 디바이스를 왼쪽으로 90도 회전시켜 눞힌 상태 |
Landscape Right | 디바이스를 오른쪽으로 90도 회전시켜 눞힌 상태 |
[App Icons and Launch Screen] 영역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 영역은 기기에 설치되는 앱의 아이콘에 대한 설정과, 초기 로딩 페이지 설정을 관리한다.
실제로 앱을 만들 때에는 반드시 이 부분에 대한 설정 작업이 필요하다.
[Frameworks, Libraries, and Embedded Content]는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를 추가할 때 등록하는 부분이다.
'i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미지 뷰 앱 만들기 1 (5) | 2023.06.08 |
---|---|
버튼 클릭 시 동작 구현 및 결과 확인 (3) | 2023.06.05 |
아웃렛 변수와 액션 함수 추가하기 (5) | 2023.06.02 |
스토리보드로 앱 화면 꾸미기 (5) | 2023.05.16 |
프로젝트 구성과 스토리보드 (1) | 2023.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