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Android

[ Kotlin Code conventions ] 명명규칙(Naming rules)

안녕하세요 공공돌🧸 입니다!!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를 진행하면서 제가 부족한 게 어떤 점인지 보이고 공부를 더 하게 돼서 좋은 것 같아요. 지금은 OOP, TDD의 개념을 잡으면서 미션을 진행하고 있는데 시간이 나면 OOP와 TDD에 대해서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추가로 회고록까지.. 하하하하ㅏㅎ🤪🤪 ) 오늘은 코틀린 코드 컨벤션에서 명명규칙(Naming rules)에 대해 번역과 함께 설명을 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 이해가 잘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Coding conventions | Kotlin kotlinlang.org 전체적인 코드 컨벤션은 위에 들어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명명 규칙( Naming rules ) Kotlin의 패키지 및 클래스 명명 규칙은 매우 간단합니다..

Android

[ Kotlin Code conventions ] 소스코드 구성(Source code organization)

안녕하세요 우아한테크코스 6기에 지원하면서 코틀린을 처음 배우고 미션을 구현하면서 코드 컨벤션을 자주 보고 수정하게 되네요. 코딩을 하면서 지켜야될 규칙들이 이렇게 많구나 깨달으면서 한편으로는 우아한테크코스 덕분에 규칙이 존재한다는 걸 알게 된 것 같아요!! 코틀린 코딩에 있어 지켜야 할 규칙을 모르셨던 분들, 알고 계시지만 한번 더 보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Coding conventions | Kotlin kotlinlang.org 코틀린 코딩 컨벤션은 위에 링크를 들어가시면 더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디렉토리 구조 순수 Kotlin 프로젝트에서 권장되는 디렉터리 구조는 공통 루트 패키지가 생략된 패키지 구조를 따릅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의 모든 코드가 패키지 org.exa..

Android

Kotlin 함수와 변수

안녕하세요 이번엔 변수, 함수, 클래스 등 코틀린에서는 어떻게 선언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Hello, Kotlin ! 모든 언어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하는 거라고 할 수 있는"Hello, World"를 찍는 프로그램을 실행해 봤습니다. fun main(){ println("Hello, Kotlin") } 이런 간단한 코드에서도 코틀린의 문법 특성을 알 수 있습니다. 함수를 선언할 때 fun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함수를 최상위 수준에 정의할 수 있습니다. 자바와 달리 꼭 클래스 안에 함수를 넣어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배열도 일반적인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코틀린에서는 자바와 달리 배열 처리를 위한 문법이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System.out.println 대신에 println이라고 씁니다. 최..

Android

코틀린(Kotlin) 이란?

안녕하세요 이번에 '우아한테크코스 프리코스' 안드로이드 부분에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접해보는 코틀린이라는 언어를 프리패스기간 동안 배우면서 진행해야 돼서 걱정이 되면서도 새로운 도전에 기대가 되네요🥹🥹 관련 서적으로 아래의 책 두권과 함께 공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1. 코틀린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먼저 코틀린(Kotlin)에 대해 배우기 위해선 코틀린이란 무엇인가? 라는 개념을 알고 가야 합니다. 코틀린은 자바 플랫폼에서 돌아가는 새로운 프로그래밍으로써, 간결하고 실용적이며, 자바 코드와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중시합니다. 현재 자바가 사용 중인 곳이라면 거의 대부분 코틀린을 활용할 수 있으고, 대표적으로 서버개발, 안드로이드 앱 개발 등의 분야에서 코틀린을 쓸 수 있습니다..

Algorithm/Algorithmic Concepts

1. 그리디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1편

안녕하세요 공공돌🧸 입니다. 알고리즘 문제들을 풀다보면 나오는 한번 정리 해보려 합니다. 순서는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 문제들을 Swift언어로 풀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디, 그래프이론, DFS, BFS, 트리순회, 완전탐색, 백트래킹, 비트마스킹, 라인스위핑, 투포인터, LIS, 이분탐색, DP, 최단거리, 펜윅트리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이란? 그리디 알고리즘은 탐욕 알고리즘이라고도 불리며, " 매 선택에서 지금 이 순간 가장 최적인 답을 선택하여 적합한 결과를 도출하자" 라는 모토를 가지고 있는 알고리즘 설계법 입니다. 한마디로 설명한다면 유명한 마시멜로 실험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그리디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는 것은 마시멜로를 먹는 것 이지만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기다렸다가 2개를..

iOS

Image Literal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공공돌🧸 입니다. 엄청 오랜만에 쓰는 게시글 이네요... 다시 마음잡고 천천히 올리겠습니다 🤪 Xcode를 사용하던 중 imageView의 image를 바꾸려고 시도를 했지만 자동완성 목록에 기존에 사용하던 image Literal이 아니라 다른 명령어가 나와 당황하던 나,,,!! 오늘은 저와 같은 분들을 위해 Image Literal 사용법을 이전의 버전과 현재 버전을 같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원래는 자동완성 목록 중 Image Literal을 선택하면 코드에 바로 이미지를 아래와 같이 삽입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버전(14.2)에서는 목록이 아래와 같이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지요. 해결 방법은 두가지로 아래와 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해결방법 1 #imageLiteral() ..

Sheep1sik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8 Page)